대한민국 산림청 실시간 산불현황 위성지도

Photo of author
Written By EXYSOFT

산림청 실시간 산불현황 위성지도

대한민국 산림청

금일산불내역 산불상황도
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양읍 운화리 산108-1임 🔗상황도보기
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 괴산리 산61임 🔗상황도보기
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 신천리 산 39임 🔗상황도보기

산불 발생 시 행동 요령 5단계

산불이 났다고 상상해 보세요. 연기가 피어오르고, 어디선가 불길이 보이기 시작해요. 당황스럽죠? 하지만 침착하게 이 5단계를 따라 하면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어요.

  1. 상황 파악하고 신고하기
    • 산불을 발견하면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뭘까요? 맞아요, 신고예요! 주위에 연기나 불길이 보이면 바로 119나 산림청(112도 괜찮아요!)에 전화하세요. “어디서 연기가 나요!”라고 간단히 말해도 돼요. 내가 정확한 위치를 몰라도, 대충 “OO산 근처예요”라고 하면 전문가들이 알아서 찾아가요. 이 작은 행동이 큰 불을 막을 수 있답니다.
  2. 안전한곳으로 대피하기
    • 신고했으면 이제 나를 지켜야죠. 불이 나면 바람이 부는 방향으로 번져요. 그러니까 바람을 등지고, 산에서 멀리 떨어진 곳으로 가야 해요. 논이나 밭, 공터 같은 곳이 좋아요. 예전에 캠핑 갔을 때 불씨가 날아오는 걸 본 적 있는데, 정말 순식간이더라고요. 그러니 망설이지 말고 바로 움직여요!
  3. 주변에 알리기
    • 혼자만 안전하면 끝일까요? 아니죠! 옆집 아저씨, 친구, 가족한테 “산불 났어요, 빨리 나가요!”라고 소리쳐 주세요. 특히 어르신이나 아이들은 혼자 대피하기 힘들 수 있으니 손잡고 같이 가는 게 좋아요. 내가 누군가를 구하면 그게 또 다른 누군가를 살릴 수도 있잖아요.
  4. 집 주변 보호하기 (만약 집 근처라면)
    • 산불이 집 근처로 왔다면? 문과 창문을 꽉 닫고, 집 주위에 물을 뿌려요. 베란다에 있는 화분이나 가스통 같은 건 치워야 불이 붙지 않아요. 예전에 TV에서 본 적 있는데, 물 뿌린 집은 불이 안 붙고 살아남더라고요. 작은 준비가 큰 차이를 만들어요!
  5. 재난 정보 확인하기
    • 대피한 뒤에는 라디오나 핸드폰으로 소식을 들어보세요. “불이 어디까지 왔나? 이제 안전한가?”를 알아야 다시 집으로 돌아갈 수 있죠. 기다리는 동안 마음 졸이겠지만, 침착하게 상황을 지켜보는 게 중요해요.


재난 용어 및 관련 정보

  • 산불: 산에서 나는 불을 말해요.
  • 대형 산불: 우리나라에서는 산불로 피해가 100ha(헥타르, 축구장 140개 정도) 이상이거나 24시간 넘게 계속되면 “대형”이라고 불러요.
  • 비화(飛火): 불똥이 바람에 날아가서 다른 곳에 불을 붙이는 거예요. 도깨비불처럼 멀리 날아가요!
  • 진화: 불을 끄는 거예요. 소방관 아저씨들이 헬기로 물 뿌리는 모습 떠올리면 돼요.


산불의 종류

산불의 종류

  • 지표화: 땅에 쌓인 낙엽이나 풀잎이 타는 거예요. 불이 낮게 깔려서 번져요.
  • 수간화: 나무 줄기가 타는 거예요. 지표화에서 시작돼서 위로 올라가요.
  • 수관화: 나무 꼭대기(잎이 많은 부분)가 타는 거예요. 바람 타고 빠르게 퍼져서 무서워요.
  • 지중화: 땅속에 있는 뿌리나 유기물이 타는 거예요. 연기는 적지만 오래 가요.


산불 단계 발령 조건

산불 1단계

1단계 (관심): 산불이 작게 났을 때. “조심해!” 하는 경고예요.

산불 2단계

2단계 (주의): 불이 조금 커졌거나 날씨가 건조할 때. 진화팀이 더 적극적으로 움직여요.

산불 3단계

3단계 (경계): 불이 크고 위험할 때. 헬기랑 소방차가 총출동해요.

산불 4단계

4단계 (심각): 정말 큰 산불이 됐을 때. 전국이 비상이에요.


역대 대형 산불

역대 대형산불
  • 2005년 양양 산불: 낙산사가 타버렸어요. 바람 때문에 2km 넘게 불이 옮겨갔다네요.
  • 2019년 고성·속초 산불: 1시간에 5km나 번졌어요. 순간 풍속이 35m/s였대요!
  • 2022년 울진·삼척 산불: 축구장 2만 개 크기가 잿더미가 됐어요. 나흘 동안 계속됐죠.


산불 발생 원인

  • 자연적 원인
    • 낙뢰: 번개가 나무에 맞아서 불이 나요. 드물지만 가끔 있어요.
    • 화산: 용암이 숲으로 흘러가면 불이 붙죠. 우리나라엔 거의 없지만요.
  • 인위적 원인
    • 담배꽁초: 등산하다 버린 꽁초가 불씨가 돼요. 정말 조심해야 해요!
    • 논밭 태우기: 농사 후 남은 풀을 태우다 번지는 경우가 많아요.
    • 모닥불: 캠핑하다 불을 안 끄고 가면 큰일 나죠.


산불 확산 배경

  • 바람: 바람이 세면 불이 옆으로 눕듯이 퍼져요. 강원도에서 “양간지풍”이라는 강한 바람 때문에 더 심해진대요.
  • 건조한 날씨: 봄이나 가을엔 비가 적어서 나무가 바짝 마른 상태예요. 불쏘시개 같은 느낌?
  • 나무 종류: 소나무는 기름기가 많아서 잘 타요. 참나무보다 1.5배 더 뜨겁게 탄대요.

Leave a Comment